현재의 문화콘텐츠산업은 ‘메타버스’ 라고 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없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산업은 새로운 기술의 활용과 더불어 기존의 콘텐츠 영역에서 활용되던 개발 프로세스와는 다른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문제해결력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문화콘텐츠산업은 차별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젊은’ 콘텐츠 개발자를 그 어느 때보다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융합콘텐츠스쿨은 메타버스 융합콘텐츠 선도 학과로서 문화콘텐츠의 본질을 이해하면서도 새로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교육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매체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융합콘텐츠 개발 인재로 학생들을 성장시키고자 합니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모든 콘텐츠에는 캐릭터가 존재하며, 이 캐릭터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이야기가 다양한 미디어 즉 웹툰, 애니메이션, 게임, 공연 등을 통해 전달되고 소비자와 소통 합니다.
또한 현재와 같은 트랜스 미디어 환경 내에서 캐릭터는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이 정형화된 미디어의 한계를 뛰어넘어 각 미디어를 넘나듭니다. 융합콘텐츠스쿨은 이러한 메타캐릭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합니다.
메타캐릭터의 개발은 다양한 미디어에 적용 가능한 캐릭터와 스토리의 기획 단계에서 출발하여 미디어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융합콘텐츠스쿨의 교육과정은 3D 캐릭터를 제작하고, 이를 언리얼 엔진으로 대표되는 리얼타임 엔진에 적용하는 버추얼 프로덕션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버추얼 프로덕션을 통해 전통적인 미디어인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으로부터 VR, AR, MR, XR 까지 모든 미디어로 확장이 가능한 것입니다.
나아가 산업체와 학교 간 연계를 강화하고,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콘텐츠 소비 트렌드에 맞추어 정규 교과 외의 다양한 활동이 함께 연계되는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 교수기업 : 메타버스 환경에 대응하여 운영되는 콘텐츠 개발 전문 기업을 운영하고 학생들이 졸업 전 참여함으로써 산업 적응력을 강화합니다.
– NFT 커뮤니티 : 차세대 문화산업의 중심 키워드로 대두된 NFT 커뮤니티 플랫폼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미래산업 환경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융합콘텐츠스쿨은 에픽게임즈에서 인증한 국내 최초의 언리얼 전문 교육기관입니다.
[언리얼 엔진 아카데믹 파트너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산업계에서의 콘텐츠 개발은 다양한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됩니다. 모든 프로젝트는 새로운 문제해결력을 요구하고 이러한 문제해결력은 오직 다양한 프로젝트를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경험을 통해서만 배양될 수 있습니다.
융합콘텐츠스쿨은 현재 산업에서 새롭게 대두되는 기술을 적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중심의 커리큘럼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기술에 대응하고 스스로의 프로젝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경험을 제공합니다.
현재 산업환경은 거대한 변화의 물결을 통과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혹은 콘텐츠 비즈니스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 대응하기 위해 융합콘텐츠스쿨은 차세대 융합콘텐츠를 선도하는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실험을 전개하고 있는 산업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학생들에게 산업과 연계된 실질적인 프로젝트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인 인재는 창의적인 교육환경을 통해 양성됩니다. 융합콘텐츠스쿨의 열린 교육환경은 학생간 혹은 학생-교수간 토론과 협력을 자연적으로 발생시키며, 창의적인 콘텐츠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는 유연한 사고의 바탕을 길러줍니다.
융합콘텐츠스쿨에서는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1:1 멘토링을 전개하고 이 과정에서 도출된 학생 개인의 진로 방향성과 그에 맞는 개개인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