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2학기 부전공 모집 계획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육개발처 ● 부전공제란? 소속 전공(주전공)에서 이수하는 전공과목 이외의 타 전공(부전공)의 전공과목을 기준학점 이상 취득하여 부전공으로 인정하는 제도 가. 신청자격 – 1학년 2학기 재학예정자 나. 유의사항 1) 재학 중 1회에 한하여 허가하며 이미 승인된 부전공을 변경할 수 없음 2) 부전공에서 개설한 전공과목 중 […]
청강문화산업대학교(총장 최성신)는 지난 4월 4일과 12일, 대학 총장을 포함한 보직교수들과 학생자치기구 임원들이 마장파출소, 이천경찰서 경비교통과와 협조하여 대학 정문 일대에서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운행 준수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전했다. 이번 캠페인은 2023학년도 1학기 개강을 맞아 학내 전동킥보드 이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배경 가운데 진행됐다. 대학 내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관리 제도와 주차장 위치 등을 안내하고, 안정장치가 미비하여 전동 […]
● 재입학 신청 자격 2023학년도 1학기 부전공 모집 계획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무처 ● 부전공제란? 소속 전공(주전공)에서 이수하는 전공과목 이외의 타 전공(부전공)의 전공과목을 기준학점 이상 취득하여 부전공으로 인정하는 제도 가. 신청자격 – 2학년 1학기 재학예정자 나. 유의사항 1) 재학 중 1회에 한하여 허가하며 이미 승인된 부전공을 변경할 수 없음 2) 부전공에서 개설한 전공과목 중 21학점 이상을 […]
● 부전공제란? 소속 전공(주전공)에서 이수하는 전공과목 이외의 타 전공(부전공)의 전공과목을 기준학점 이상 취득하여 부전공으로 인정하는 제도 가. 신청자격 – 1학년 2학기 재학예정자 나. 유의사항 1) 재학 중 1회에 한하여 허가하며 이미 승인된 부전공을 변경할 수 없음 2) 부전공에서 개설한 전공과목 중 21학점 이상을 부전공 학점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부전공 신청 이전에 이수한 […]
청강문화산업대학교(총장 황봉성, 이하 청강대)는 지난 2일 청강대와 산학협력 관계에 있는 SM 엔터테인먼트(공동대표 이성수, 탁영준)의 박설아 유닛장을 초청하여 애니, 게임, 만화, 패션과 연관된 IP라이선스 사업의 현황과 그 예시에 대한 특강을 진행했다. 이번 특강은 지난 1월 청강대와 SM엔터 측이 상호 간의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 MOU를 체결한 이후, 문화 콘텐츠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 양성 교육 차원에서 […]
청강문화산업대학교(총장 황봉성, 이하 청강대) 대학일자리센터는 지난 1월 ㈜데브시스터즈킹덤(공동대표 조길현, 이은지)을 대학 캠퍼스로 초청하여 채용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조길현, 이은지 공동대표와 청강대 출신 개발자 직원 5명이 참여한 채용설명회는 기업 담당자가 회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의 채용설명회에서 벗어나 학생들과 함께 취업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포트폴리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는 등 참여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시행되었다. 이날 채용설명회는 […]
청강문화산업대학교(총장 황봉성, 이하 청강대) 대학일자리센터는 재학생의 직무 관련 역량 강화를 위해 직무분야 특성에 맞춘 ‘현장밀착형 모의면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장밀착형 모의면접 프로그램’은 학과별 직무분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으로, 전공 관련 산업분야의 인사를 초정하여 모의면접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12월 8일(수) 청강대 만화콘텐츠스쿨 웹소설창작과를 시작으로 총 4회 진행이 예정되어 있다. 현장 밀착형 모의면접은 코로나19 […]
ㅣ라프텔 통해 학생 작품 공개하고 ‘라이트 애니’ 제작까지 청강문화산업대학교(총장 황봉성, 이하 청강대) 애니메이션스쿨은 리디주식회사와 손잡고 학생 작품의 애니메이션 스트리밍을 리디주식회사의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플랫폼 ‘라프텔’을 통해 진행한다고 밝혔다. 웹툰, 웹소설,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서비스로 유명한 리디주식회사의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플랫폼인 라프텔은 최근 눈에 띄는 성장을 이뤘다. 애니메이션 전문 토종 스트리밍 서비스로 다양한 카테고리와 우수한 작품들로 […]
l 신산업 중심으로 학과 재편, 캠퍼스 내에 실습장소까지 마련, 기업 러브콜에 취업률 70% 육박 전문대가 변하고 있다. 학과가 다양해지고 캠퍼스도 역동적으로 변했다. 자신만의 진로를 개척해나가려는 고등학생, 현장 경험과 지식을 융합하려는 직장인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14일 서울경제신문이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손잡고 전국 곳곳의 전문대를 살펴본 결과 신산업 중심으로 학과를 재편하고 캠퍼스 내에 기술을 갈고 닦을 현장을 마련한 전문대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