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희롱성폭력상담센터

성희롱 및 성폭력 피해상담접수, 피해상담, 관련기관을 연계한 피해자 지원활동을 담당합니다.
이와 함께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 예방 집단프로그램 실시와 성희롱·성폭력 예방 홍보활동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성희롱·성폭력 신고상담

성희롱성폭력상담센터는 학생, 직원, 교수 등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구성원과 피해자를 대신하는 제3자 모두가 이용 가능 합니다. 당사자 동의 없이는 공개·누설 불가, 피해자 신원 및 상담 내용의 비밀을 보장 합니다.

상담안내

  • 1) 성희롱ㆍ성폭력인지 판단이 어려운 경우

    대인관계에서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성적으로 불편함을 느끼지만 성희롱에 해당하는지 알 수 없어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고민될 때, 상담을 통해 자신이 처한 상황을 더 객관적으로 보면서 적절한 대응을 하는데 도움을 드립니다.

  • 2) 성희롱이나 성폭력 피해에 대처해야 하는 경우

    교내ㆍ외에서 성희롱이나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이후 당황하여 어떻게 대처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 센터는 성희롱이나 성폭력 피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법적ㆍ의료적ㆍ심리적으로 필요한 자원을 함께 찾고, 필요한 경우 병원, 경찰, 법률 기관 등과 연계하여 지원합니다.

  • 3) 원하지 않는 성적 접촉 요구를 거절하기 어려운 경우

    데이트 관계나 아는 관계에서 상대방이 내가 원하지 않는 성적 접촉을 요구 할 때, 나의 성적 욕구를 알아차리고 이를 상대에게 적절하게 표현한 후 상대와 성적 협상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성적인 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모르는 경우가 많고, 특히 원하지 않는 성적 접촉을 요구 받았을 때 거절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데이트 성폭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본 센터에서 상담을 받으며 먼저 자신의 마음을 알아차리고 이를 솔직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트 관계에서 성적자기결정권을 침해 받지 않도록 도웁니다.

  • 4) 과거의 피해 경험이 현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성폭력 피해 이후 적절한 심리적ㆍ사회적 도움을 받는다면 피해로 인한 영향은 작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피해 초기에 ‘별일 아니다’라며 피해의 영향력을 부인하거나 ‘너에게도 잘못이 있다’라며 비판하는 주변 사람들의 태도를 접하게 되면, 피해자는 많이 위축되고 자존감도 낮아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지속하는 능력이 훼손 됩니다. 이런 경우 본 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으며 후유증으로부터 회복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메일 신청주소 counsel@ck.ac.kr
  • 전화신청 031-639-4480
  • 상담진행 대면상담(창작마을 B110호)
    온라인 상담(이메일 신청접수)
top